도커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구조를 봤을 때, java jdk용량과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만 생성하면 됨으로 환경 설정 단순성 및 다양한 배포 가능성이라는 장점을 가집니다.
1단계, 도커허브 가입 및 도커 powersell 로그인
도커허브 홈페이지에서 계정을 생성하고 powersell 또는 터미널창에서 도커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
Build and Ship any Application Anywhere Docker Hub is the world's easiest way to create, manage, and deliver your team's container applications. Create your account Signing up for Docker is fast and free. Continue with GoogleContinue with GitHubContinue wi
hub.docker.com
docker login
2단계, 도커허브 레포지토리 생성
Create a Repository를 통해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Namespace와 Repostiory Name을 지정하고 짧은 설명을 작성합니다.
3단계, 이미지 빌드 파일 생성
도커 허브 레포지토리 주소가 곧 이미지 명입니다.
중요! (무조건 이미지명과 도커 허브 레포지토리주소(=도커계정명/저장소명)가 같아야 합니다!!)
docker bulid -t 도커계정명/저장소명 . (뒤에 .도 포함!)
4단계, 도커허브에 이미지 업로드
docker push 도커계정명/저장소명
5단계, 도커 허브 외부 이미지로 컨테이너 생성 후 프로젝트 실행
1. 이미지 삭제
2. 도커허브에서 외부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pull 도커계정명/저장소명
3. 외부에서 가져온 도커이미지로 컨테이너 만들어서 실행
docker run -p 포트번호:포트바인딩 이미지ID
또는 터미널에서 실제 빌드 파일로 실행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킨스 계정 생성 및 인스턴스 설치 (0) | 2024.02.27 |
---|---|
GCP 우분투에서 도커 설치하기 (0) | 2024.02.27 |
Dockerfile을 활용한 자체 이미지 빌드 (1) | 2023.11.25 |
Docker -detach모드, -attach모드, -it 옵션 등 (0) | 2023.11.25 |
컨테이너 Paused, Deleted + 도커 prune 명령어 사용 (0) | 202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