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젠킨스와 ssh 터미널 연결
ssh로 연결하기 위해서 먼저 ssh키부터 발급합니다.
ssh-keygen -t rsa -f ~/.ssh/id_rsa
모자이크 처리한 부분(The key fingerprint is: 윗 부분)이 바로 생성한 공개키/개인키의 주소입니다.
.pub가 public key공개키, 아닌게 identification 개인키입니다.
젠킨스는 개인키로 발급하고, 그 발급된 서명을 각 가상PC에서 공개키로 검증합니다.
vi id_rsa.pub
위 명령어를 통해 공개키가 나오면 내용 전부를 복사합니다.
젠킨스가 관리할 가상피씨에 저장할 위치를 입력해 들어간 창에 복사한 공개키를 저장하면 됩니다.
vi ~/.ssh/authorized_keys
그리고 chmod 700 ~/.ssh 명령어, chmod 600 ~/.ssh/authorized_keys 명령어 입력해 권한을 조정해줍니다.
2. 젠킨스 서버에서 ssh를 활용한 스크립트 전달을 위한 플러그인을 설치
publish를 검색하여 Publish Over SSH를 설치합니다.
3. 젠킨스 접속하여 대시보드에서 젠킨스 관리 후 System을 클릭
key부분에 비밀키(개인키)를 작성하고 SSH Servers에 젠킨스 서버의 영향을 받을 서버를 추가합니다.
cd .ssh
vi ~/.ssh/id_rsa
개인키를 조회하여 복사합니다.
Name에는 식별 가능한 이름: 인스턴스 이름
Hostname에는 내부 IP
Username에는 우분투 계정명: 블라블라@jenkins-블라블라 각 사용자에 ssh @앞부분만 사용합니다.
Remote Directory에는 홈디렉토리를 사용: pwd 명령어로 확인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환경 설정 (1) | 2025.01.22 |
---|---|
젠킨스 계정 생성 및 인스턴스 설치 (0) | 2024.02.27 |
GCP 우분투에서 도커 설치하기 (0) | 2024.02.27 |
도커라이즈 이미지를 활용한 도커허브 업로드 (1) | 2023.11.27 |
Dockerfile을 활용한 자체 이미지 빌드 (1)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