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프라

쿠버네티스 환경 설정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

쿠버네티스는 여러 대의 컴퓨터 노드(서버)를 클러스터로 구성하여, 컨테이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합니다. 각 노드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고, 쿠버네티스는 이러한 컨테이너들을 관리하며 자원 할당, 자동 복구, 확장과 축소 등을 자동화합니다.

 

쿠버네티스의 핵심 개념은 파드(Pod), 노드(Node), 서비스(Service)

- 파드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그룹화

- 노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서버

- 서비스는 파드의 집합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하고 관리

 

https://kubernetes.io/ko/docs/reference/setup-tools/kubeadm/

 

# 쉽게 접근하는 방법은 EKS(AWS), AKS(Azure), GKS(Google Cloud Platform) 등을 이용

이미 세팅된 쿠버네티스를 활용하는 방법이지만 이러면 비용도 증가하고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사용이 부적합하며(물론 온프레미스용으로 EKS-A(anywhere) 같은 서비스도 있긴 합니다 :)

 

# 로컬 환경에서 직접 환경설정 적용해보기

로컬에서는 kind(K8s IN Docker) 적용, 이외에 도구들에 대한 다양한 종류

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

 

도구 설치

컴퓨터에서 쿠버네티스 도구를 설정한다.

kubernetes.io

 

윈도우에서는 초콜레티(chocolatey)를 이용한 설치가 권장되는데, 맥에서는 brew를 이용해 터미널에서 아래 구문을 입력하면 됩니다.

https://chocolatey.org/install

Set-ExecutionPolicy Bypass -Scope Process -Force; [System.Net.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 [System.Net.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bor 3072; iex ((New-Object System.Net.WebClient).DownloadString('https://community.chocolatey.org/install.ps1'))

홈페이지에서 명령어를 복사해서 사용하면 설치됩니다~

 

Installing Chocolatey

Chocolatey is software management automation for Windows that wraps installers, executables, zips, and scripts into compiled packages. Chocolatey integrates w/SCCM, Puppet, Chef, etc. Chocolatey is trusted by businesses to manage software deployments.

chocolatey.org

 

kind create cluster로 클러스터를 생성하면 kind-control이라는 컨테이너가 띄워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kubectl(쿠버컨트롤) 을 설치해야 CLI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chocolatey 사용시

https://kubernetes.io/docs/tasks/tools/

 

Install Tools

Set up Kubernetes tools on your computer.

kubernetes.io

진행 완료 시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